티스토리 뷰
우리가 살아가다 보면 한 번쯤은 들어볼 수밖에 없는 세금 용어가 바로 상속세와 증여세입니다. 오늘은 평소에 상속세와 증여세가 어떤 것인지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구체적이고 알기 쉽게 설명드리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궁금하셨던 분들께 많은 도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상속세와 증여세는 자산이 가족 간에 이전될 때 부과되는 세금으로, 대한민국에서는 세금을 통해 부의 세습을 규제하고 재정을 확보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이 두 가지 세금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1. 상속세
상속세는 사람이 사망한 후 그 사람의 재산이 상속인(주로 자녀나 배우자)에게 이전될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상속세의 기본 개념
과세 대상:
상속인이 상속받은 재산, 즉 고인의 사망으로 인해 물려받는 모든 재산이 상속세 과세 대상입니다. 여기에는 부동산, 예금, 주식, 보험금, 귀금속 등이 포함됩니다.
과세 표준:
상속세는 상속받은 재산의 총액에서 일정한 공제액을 뺀 금액에 대해 부과됩니다. 이 공제액은 상속인과의 관계, 재산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대표적인 공제 항목으로는 배우자 공제, 기본 공제, 금융재산 공제 등이 있습니다.
상속세 계산 방법
상속재산 평가:
먼저 상속받은 재산의 총가치를 평가합니다. 부동산은 시가를 기준으로, 주식은 상속 개시일 전후의 평균 주가를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공제액 차감:
상속재산에서 공제 가능한 항목들을 차감합니다. 예를 들어, 배우자는 최소 5억 원에서 최대 30억 원까지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상속인이 여러 명인 경우, 각각 5천만 원의 기본 공제가 적용됩니다.
과세표준 결정:
공제를 적용한 후의 금액이 과세표준이 됩니다.
세율 적용:
과세표준에 상속세율을 적용합니다. 대한민국의 상속세율은 누진세율 구조로 되어 있으며, 10%에서 시작하여 과세표준이 높아질수록 최대 50%까지 올라갑니다.
상속세율 예시
과세표준이 1억 원 이하: 10%
과세표준이 1억 원 초과 5억 원 이하: 20%
과세표준이 5억 원 초과 10억 원 이하: 30%
과세표준이 10억 원 초과 30억 원 이하: 40%
과세표준이 30억 원 초과: 50%
2. 증여세
증여세는 생전에 다른 사람(주로 가족)에게 재산을 무상으로 이전할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증여세의 기본 개념
과세 대상:
증여를 통해 받는 모든 재산이 증여세 과세 대상입니다. 이에는 현금, 부동산, 주식, 귀금속 등이 포함됩니다.
증여재산 평가:
증여받은 재산의 가치를 평가하여 과세표준을 결정합니다. 부동산이나 주식 등의 평가 방법은 상속세와 유사합니다.
증여세 계산 방법
증여재산 평가:
증여받은 재산의 가치를 평가합니다.
공제액 차감:
증여세에서는 증여받는 사람의 관계에 따라 일정 금액을 공제해 줍니다. 예를 들어, 부모로부터 자녀가 증여받을 때는 10년간 5천만 원까지는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배우자 간 증여의 경우, 10년간 6억 원까지 공제가 가능합니다.
과세표준 결정:
공제액을 제외한 금액이 과세표준이 됩니다.
세율 적용:
상속세와 마찬가지로 누진세율 구조가 적용됩니다.
증여세율 예시
과세표준이 1억 원 이하: 10%
과세표준이 1억 원 초과 5억 원 이하: 20%
과세표준이 5억 원 초과 10억 원 이하: 30%
과세표준이 10억 원 초과 30억 원 이하: 40%
과세표준이 30억 원 초과: 50%
3. 상속세와 증여세의 공통점과 차이점
공통점:
둘 다 누진세율 구조로 되어 있어, 재산이 클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세금을 통해 부의 집중을 완화하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차이점:
상속세는 사망 후 재산이 이전될 때 부과되고, 증여세는 생전에 재산이 이전될 때 부과됩니다.
공제액과 그에 따른 과세 표준 계산이 다를 수 있습니다. 특히 증여세는 10년 단위로 공제가 가능해, 계획적으로 증여하면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4. 이해하기 쉬운 예시
상속세 예시:
부모님이 10억 원 상당의 부동산을 남기고 돌아가셨다고 가정합시다. 상속인은 자녀 한 명입니다. 10억 원에서 기본 공제 5천만 원, 배우자 공제(없다면), 기타 공제를 제외한 후 남은 금액에 세율을 적용해 상속세를 계산하게 됩니다.
증여세 예시:
부모님이 자녀에게 2억 원을 증여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 경우, 자녀는 5천만 원까지 공제를 받을 수 있고, 남은 1억 5천만 원에 대해 증여세가 부과됩니다. 1억 원 이하에 대해 10% 세율이 적용되고, 나머지 5천만 원에 대해 20% 세율이 적용됩니다.
5. 실제로 주의해야 할 점
10년 단위 증여 관리:
증여세 공제는 10년 단위로 적용됩니다. 즉, 부모가 자녀에게 10년 동안 5천만 원까지는 증여세가 면제되므로, 이를 활용해 계획적으로 증여하는 것이 세금 절감에 도움이 됩니다.
상속세 신고와 납부 기한:
상속세는 상속 개시일(사망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신고하고 납부해야 하므로, 유족들이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상으로 상속세와 증여세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봤는데요. 평소 상속세와 증여세에 대해서 궁금하셨던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알기 쉽게 쓴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 거주자 상속세와 관련하여 총 정리 - 해외 거주자 상속 받는 경우, 피상속인이 해외 거주자인 경우 등 (0) | 2024.08.20 |
---|---|
부동산과 관련한 다양한 세금 종류와 의미 알아보기 (0) | 2024.08.20 |
직장 건강 의료 보험과 지역 건강 의료 보험의 차이점 알기 쉽게 알아보기 (0) | 2024.08.19 |
건강보험료란? 정의와 가입대상, 보험료, 혜택, 중요성, 평소 몰랐던 정보까지 총 정리 (0) | 2024.08.19 |
실업수당이란? 실업수당의 정의와 특징, 지원 대상, 신청 방법 등 총 정리 (0) | 2024.08.12 |
- Total
- Today
- Yesterday
- etf
- 인플레이션
- 노후 준비
- 금융 용어
- 근로 장려금 신청 방법
- 알바 주휴 수당
- 국세청 장려금
- 경제
- 주휴 수당 이란
- 근로 장려금
- etf s&p 500
- 중앙 은행
- 경제 용어
- 근로 장려금 조건
- 금융
- 근로 장려금 신청
- 근로 자녀 장려금
- 상속세법
- 홈택스 근로 장려금
- 근로 장려금 이란
- 개인 사업자 부가세
- 국세청 근로 장려금
- 고용 보험 공단 실업 급여
- 국세청 부가가치세
- 자녀 장려금
- 실업 급여 국비 지원
- 상속세
- 프리랜서 부가세
- 경제 단어
- 주휴 수당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